2009년 10월
503호
이재하 / 이재하 / What Dose 'Square' Mean to Us, the Citizens? / Hanil Visitor / Focus / 건축 / 34~37 / 수직성, H빔, 콘크리트, 단면, 금속재료마감, 시멘트 벽돌, 나왕 집성각재 /
2009년 10월
503호
편집부 / What Dose 'Square' Mean to Us, the Citizens? / Hanil Visitor / News / 건축 / 8~19 / 빛을 고려한 파사드에 시각적 유희를 더하다, 국가 상징 거리: 변화의 시작점인가 종착점인가?, 서울디자인올림픽 2009개최, '투모로우시티' 올해 인천시 건축상 수상, 3D 모델로 재현된 로마 카타콤의 역사, 찰스 콰스메이 별세, 도심에 꽃피 무선통신 지원 장치, 창의적 혁명을 꿈구다: 리프트 아시아 09, 아이 웨이웨이가 그리는 '세계지도'전, 85호 크레인-어느 망루의 역사전, 현대사의 비극: 기무사에서 건져 올린'플랫폼 2009', '가상선'전, 20세기 프랑스 실용주의 디자인의 중심:장 프루베전, 유진규의 '빨간방' 공연의 틀을 깨다, 20세기 사진의 거장, 2009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건축의 마사지(전진삼), 장소의 재탄생;홍대앞에서 런던까지(박상훈), Urban Flotsam, The Projects, NBBJ, OMA, 여수세계박람회 국가관, F451, CHN, 세계델픽대회: 제주도에 새로운 랜드마크를 제안하다 /
2009년 09월
502호
The Gwanghwamun Square: Limits and Significances / Profile / 131~132 / 경영위치, 아르칸 제이티노글루, 메이머 로바톤 코로나, 크리스티안 도날드슨, 알베르토 캄포 바에자, 두간 모리스 아키텍츠, 마뉴엘 가우트란드, 황순우, 최우람 /
2009년 09월
502호
찰스 랜드리 / 최도인 / The Gwanghwamun Square: Limits and Significances / Book Review / 인문 / 130 / 예술적인 도시 만들기, 현대 도시, 도시계획, 시민성, 시민의 창의성, 크리에이티브 시티, 고정관념 /
2009년 09월
502호
승효상 / The Gwanghwamun Square: Limits and Significances / Feature 01 / Interview / 건축 / 88~91 / 교통 광장, 광장공포증, 서울의 정체성, 랜드마크, 빈 공간, 장소성, 역사적 정체성, 공공 디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