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호
최병소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3] / 특집-2 / 미술 / 74~76 / 심신 수양, 금강경, 금속성 필촉, 반복, 의도적인 행위, 무의식의 세계, 우주의 대선정, 최병소 작 '무제'(신문지에 연필, 1979), 중앙대 회화과 /
이반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3] / 특집-2 / 미술 / 71~73 / 순수의식, 작업의 근원, 절대적 이상, 자유화, 순수형상 실현, 이반 작 '팽창률-뚫음'(1980), 홍익대 회화과 /
김기린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3] / 특집-2 / 미술 / 69~70 / 김인환 평문, 기계의 소리, 어두움의 두께, 반단색주의, 무채면, 침묵의 회화, 정병관 평문, 몰개성적, 비물질적화, 김기린 작 '안과 밖'(한지, 1979), 한국외국어대 불문과 /
윤명로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3] / 특집-2 / 미술 / 66~68 / 개성, 어처구니, 양의성, 고누, 삶과 죽음, 물질과 정신, 깨달음, 신비, 탈표현적인, 윤명로 작 '작품 80-410'(리도그래피), 서울대 회화과 /
정상화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3] / 특집-2 / 미술 / 63~65 / 中島德博 평문, 고베 시대, 분절화 프로세스, 평면에로의 구축, 통어관념, 균질성, 시각, 내적 움직임, 정상화 작 '무제 80-1', 서울대 회화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