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호
시 이흥우, 그림 전성우 / 신진과 중견의 대화 / 연재 / 인문 / 76~79 / 일본 나니와 백제사, 젊은 중 혜의, 의자왕, 백제스님 의각, 의각의 입, 빛의 줄기, 반야심경, 자설경, 권상노, 조선불교약사, 삼국임자조 /
허영환 / 신진과 중견의 대화 / 연재 / 미술 / 60~67 / 중국 화가 제백석(치빠이스, 齊白石), 가난한 시골 목공수, 서위 /
허만한 / 신진과 중견의 대화 / 수상 / 미술 / 38~40 / 서표, 그림엽서, 노리다께 미쓰오, 시집 '풍영집'(風詠集), 서울 인문사 출판, 이중섭 장정 /
김철순 / 신진과 중견의 대화 / 연재 / 미술 / 28~37 / 사랑의 민화, 따뜻한 사랑, 한국예술의 본질, 무의식의 미감, 일본은 싸늘한 예술, 기교 초월한 깨달음, 자연주의, 깨달음의 우화, 삼고초려(8폭), 토끼와 거북이(8폭), 총석정과 여승(10폭) /
127호
이제상 / 대규모 프로젝트와 공공건축 / 포룸 / 음악 / 103~106 / 르네상스의 본질, 인본주의, 휴머니즘 운동, 인간재탄의 시대, 폴리포니, 모테트, 부르주아 활동, 근대문화의 전형, 반종교개혁 운동, 음악의 황ㄱ슴시대, 이데아로서 폴리포니, J.S. 바하, 심포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