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5년 12월
102호
강석희, 박선주, 박동욱, 박용구, 박재열 / <서울음악제> 어제, 오늘, 내일, 서울대학교 / 특집 / 음악 / 17~20 / 시행착오, 음악제의 의미, 좋은 작품, 9할 현대적 스타일, 청중동원, 비예술적 사고, 고전 유형, 관용, 행사위주, 존재의의, 발표무대, 연주자, 교향곡 쓰는 시대, 문화정책, 악단의 부조리, /
1975년 12월
102호
한상우 / <서울음악제> 어제, 오늘, 내일, 서울대학교 / 특집 / 음악 / 14~16 / 신음악 80년 , 서울음악제, 실험을 위한 무대, 반성은 필연, 작곡가, 좌충우돌, 실내�품�, 창작자, 연주가, 작품 선택, 공감성 문제, 제도적 뒷받침 /
1975년 12월
102호
이혜구 / <서울음악제> 어제, 오늘, 내일, 서울대학교 / 음악 / 8~9 / 회고록적 수상, 대학시절, 강당집회, 일본학생 독단장, 한국학생 엄무현, 성주풀이, 방아타령, 육자배기, 일당백, 사은회, 유행가, 교수의 격, 국립극장 '충무공' 연습, 충무공 한탄, 뺑덕어멈 울음, 성격묘사, 독창곡과 합창곡, 인품 /
1975년 11월
101호
정시화 / 스페이스 '75, 국회의사당, 박수근전 / 디자인 / 81~83 / 고정관념 탈피, 교육 개선, 한국디자인 발전, 전개 원리, 새로운 미술교육, 디자인교육 확대, 새로운 전통, 제품, 미적 가치, 역사주의적 답습 /
1975년 11월
101호
이구열 / 스페이스 '75, 국회의사당, 박수근전 / 미술 / 56 / 공간수상, 화단의 고명작가, 작품, 화상, 가격, 수집가, 예술적 가치, 박수근, 고희동, 미술계, 비정상, 불신, 외국 유명화가, 입체적 조사 연구, 박수근기념전, 고향친구, 처녀작 유화, 감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