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호
윤일주 / 한국양식건축의 발자취 / 건축 / 13~26 / 외국과 수호조약 체결, 1890년 대, 신구 기독교 건물, 천주교 용산신학교와 성당, 성모병원 분원, 성심회수녀원, 약현(현 중림동)성당, 삼각지성당 최우석 신부, 감리교 정동교회, 1920년 증축, /
허영환 / 한국양식건축의 발자취 / 미술 / 11~12 / 중국회화 12유파, 산정의 화법, 수묵사의파, 표현파, 몰골법, 발묵법, 산정의 품성, 작품에 투영, 대상의 세계, 심상의 세계, 창작의 양면성 /
이종상 / 한국양식건축의 발자취 / 미술 / 4~10 / 빗나간 사관, 비윤리성, 기법론 무지, 논자의 그릇된 자세, 한국미술 일본에 매도, 중국의 문인화관, 편협된 가치관, 출신학교 '일본화의 매판', 목불식견, 한국미술 전통 부정, 일어탁수 /
편집부 / 한국양식건축의 발자취 / 미술 / 3 / 편집자 주, 공간 86호, 한국회화의 진로문제, 문명대, 물의, 서울미대 동문회, 반론, /
이경성 / 한국양식건축의 발자취 / 미술 / 2 / 미술가와 대중과 화상, 함수관계, 미술품 유통, 미술계 발전, 미술비평, 대중의 기호, 유행작가, 다작은 졸작, 헛된 명성, 구멍난 작품, 예술 멸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