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호
김우택 / 연극적 공간 / 연극 / 15~18 / 창극, 우리 국극, 고유무대, 연기자와 관객, 무대와 객석, 안무대와 바깥무대, 낭만적 희극, 구체 원리 따른 원형무대, 돌출무대, /
64호
홍석창 / 화문석의 주재료에 대하여 / 미술 / 55~58 / 자유중국 화단, 전시회 활발, 젊은작가 개인전 그룹전, 5월회, 대양회, 유화, 국화, 판화, 현대회화로 납염화 등장, 류국송, 진경시, 장철, 왕건주, 이재검, 심재근, /
편집부 / 화문석의 주재료에 대하여 / 미술 / 50~51 / 서양화가 이인성, 서울화랑, 유작회고전, 선전, 천재적 소양, 후기인상파 영향, 향토적 모티브, 창변(수채), 여인상(수채), 정물(유화) /
이종석 / 화문석의 주재료에 대하여 / 미술 / 3~10 / 완초공예, 농가부업, 창작공예, 화문석, 호문석, 色七字席의 백학문, 色七字등메 중앙의 못환 무늬, 용수초, 등심초, 전승기능 /
63호
김호연 / 고한국지도의 역사적 고찰 / 미술 / 3~15 / 민화, 김기창 화백 소장, 혁필화, 유교원리, 여덟자 시리즈, 자획, 짙은색채 그림, 충(忠), 예(禮), 신(信), 염(廉), 제(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