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02월
82호
윤일주 / 예술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 1)음악편, / 건축 / 41~56 / 관파천 이후 1차 한일협약, 한국정부의 건설업무, 도지부청사(원 정동형사지방법원), 대한의원 본관(현 서울대학병원 본관), 공업전습소 본관(현 국립공업연구소 본관), 평리원과 한성재판소(원 대번원과 공소원 본청사), 광통관(현 상업은행 종로지점), 내부청사(반존, 현 내무부 치안국, 전 경기도청), 농상공부청사(저동, 현 을지로세무서 터), 부산세관(현 부산세관), 인쇄국(원효로 추정,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
1974년 02월
82호
연구채록:,김백봉, 시범연희: 이근성 / 예술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 1)음악편, / 무용 / 21~30 / 춤사위 스케치: 화양동, 제2절 1~12장단, 제3절 1~9장단 /
1974년 02월
82호
박용숙 / 예술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 1)음악편, / 사랑방 / 미술 / 2 / 화가의 여러가지 부업, 실기지도에 쓰는 모델, 석고 대용의 문제, 첫모델은 화학(畵學)에 영향, 젊은이들의 그림, 유럽 고전 인물상 흔적, 부업 화가들의 책임, 화가 단원의 좋은 해답, 실사구시의 실경산수화, 우리의 산수(山水), 화가 P씨의 스케치전, 석굴암 금강역사 같은 인물화, 모델 문제 생각 /
1974년 01월
81호
최욱경, 정관모, 박용숙 / 한국현대건축의 미학적 현황 / 미술 / 27~42 / 대담, 최근 미국미술, 현대예술, 유럽 근대합리주의 반발, 다다이즘의 영향, 안티 테제 실현, 예술과 현실의 일치, 로버트 라우센버그, 회화와 조각 연결 실증, 최욱경 전시회, 미국영향과 독자성, 화석이 된 개(최욱경), 시인과 돼지(최욱경), 정관모작품전, 생동하는 조각, 종말의 지평(정관모, 1971), 생의 의미(정관모, 1969) /
1974년 01월
81호
박용숙 / 한국현대건축의 미학적 현황 / 건축 / 3~20 / 현대건축, 개인과 사회, 박길룡의 문제, 절충주의양식, 식민지적 현상, 전통의 단절 위에서 출발, 김중업의 문제, 르 꼬르뷔제 제자, 아르누보 예술원리, 기능적 상징주의, 전통적 조형성, 작가정신과 배치, 떠받이식 원리는 꼬르뷔제 시각, 아르누보양식의 이식, 김수근의 일본적인 것, 미국인 라이트 독일인 타우트, 피카소의 아프리카 목각인형 재창조, 자기 어법으로 확인한 새 예술, 1960년 국회의사당, 라이트의 어법, 존재론적 미학의 문제, 부여박물관, 사회적 사건, 자기미학의 변형 시도, 인간환경계획연구소, 식민지적 도시패턴의 지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