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호
곽영훈 / 환경과 조경 / 공간수상 / 조경 / 30~31 / 한국의 조경, 인식론적 자세, 세 가지 괴리, 언어적 견지, 옴스테드(F.L. Olmsted), Landscape Architecture, 이론과 응용, 도시개발, 사회정책, 결정 체제, 발주처와 관계당국, 무지의 횡포, 협동 자세 /
서울대 환경대학원 조경학과 / 환경과 조경 / 특집 / 조경계획의 실제: 3개의 조경계획 / 조경 / 14~16 / 전통문화보존, 관광요소, 상충과 융화, 문화의 역사성, 고적, 불국사 주변, 공간체계, 전이적 공간, 도입부 역할, 경관구성의 변화 /
이규목 / 환경과 조경 / 특집 / 조경 / 11~13 / 환경설계, 물리적 환경, 연속체험, 시간의 상호관련성, 인공과 자연요소, 자연스러운 공간어휘, 정태적, 동태적, 특징적 자연경관, 토목적 척도, 인간적 척도, 마당, 한국조경양식 /
이경성 / 환경과 조경 / 사랑방 / 미술 / 5 / 국전, 한국 현대미술의 성장, 국전 설립 의미, 국가적 육성, 민간단체, 공개심사, 점등식 표결, 명쾌한 심사풍토, 초대작가상, 추천작가상, 국전의 치부 /
106호
안젤라 슈나이더, 이인웅 역 / 국악 1천년 과 국립국악원 / Forum / 음악/미술 / 93~95 / Angela Schneider, 달은 쉼표, 음악과 미술, 평행선적 요소, 음조와 색채의 교차, 붉은 색의 푸가, 색채 피아노, 복음악체, 다음적 추상화, 그림속 음악-시간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