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호
박용숙 / 왜, 관념예술인가? / 미술 / 8~18 / 관념예술은 방법정신, 유럽에서의 관념예술의 정체, 제3의 혁명, 앙포르멜의 상륙과 여파, 관념예술을 업은 박서보, 박서보의 원형질, 박서보의 허상, 묘법, 해프닝과 아방가르드, 정찬승의 해프닝, 김구림의 흔적, 우연성-무의식의 철학, 한묵의 나선형, 정관모의 생태 /
김광웅 / 왜, 관념예술인가? / 인문 / 3~7 / 사회과학에서 인지하는 환경, 시대적 배경, 정태적이고 고정된 상수, 환경의 개념과 의미, 체제의 의미, 생태론, 생태론의 일반원리, 생태론적 접근법, 환경의 과제, 문화적 환경, /
83호
NULL / 화가 장욱진 / 기타 / 70~71 / 유신 작곡발표회, 무용용어 통일 심의위원회, 동아 국제사진살롱 입선작 전시회, 이조모공가구명품전, 영국수채화전, 침묵극 발표회(공간사랑) /
김원 / 화가 장욱진 / 연재 / 건축 / 62~69 / 수면하의 대지, 네덜란드, 국도 절반이 바다보다 낮은 곳, 인공동력으로 수위 조절, Schiphol 국제공항, KLM 본거지, 동선처리와 공간디자인 세련, 도시의 형성-암스테르담, 고전이 갖는 포용력, 유럽식 전통론, 장사꾼 기질과 예술, 고흐 박물관, /
안영배(사진: 안영배, 원대연) / 화가 장욱진 / 연재 / 건축 / 43~61 / 최근 우리나라 건물, 주위환경이나 외부공간 무관심, 외부공간 인식은 도시 건축 게획의 중요과제, 한국고건축에서 배울 점, 한국건축 외부공간은 연속성 과정, 과정적 공간-주공간 -부속공간, 과정적 공간, 공간변화와 방향성, 범어사, 송광사, 통도사, 쌍계사, 직지사, 불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