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503호
이용심 / What Dose 'Square' Mean to Us, the Citizens? / Hanil Visitor / Feature / Interview / 도시 / 108~109 / 숭례문 광장, 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 서울 역사 문화, 축선, 중앙 광장, ㅍㄹ라워 카펫, 편의시설, 세종대황 동상, 시설물, 국가 상징 거리 /
2009년 10월
503호
야마가타 타케시 / 야마가타 타케시 / What Dose 'Square' Mean to Us, the Citizens? / Hanil Visitor / Recent Work / 건축 / 84~91 / 독신자, 젊은 부부, 임대아파트, 목조 거물, 도심형 아파트, 독립된 출입구, 정원, 열린 분위기 /
2009년 10월
503호
편집부 / What Dose 'Square' Mean to Us, the Citizens? / Hanil Visitor / News / 건축 / 8~19 / 빛을 고려한 파사드에 시각적 유희를 더하다, 국가 상징 거리: 변화의 시작점인가 종착점인가?, 서울디자인올림픽 2009개최, '투모로우시티' 올해 인천시 건축상 수상, 3D 모델로 재현된 로마 카타콤의 역사, 찰스 콰스메이 별세, 도심에 꽃피 무선통신 지원 장치, 창의적 혁명을 꿈구다: 리프트 아시아 09, 아이 웨이웨이가 그리는 '세계지도'전, 85호 크레인-어느 망루의 역사전, 현대사의 비극: 기무사에서 건져 올린'플랫폼 2009', '가상선'전, 20세기 프랑스 실용주의 디자인의 중심:장 프루베전, 유진규의 '빨간방' 공연의 틀을 깨다, 20세기 사진의 거장, 2009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건축의 마사지(전진삼), 장소의 재탄생;홍대앞에서 런던까지(박상훈), Urban Flotsam, The Projects, NBBJ, OMA, 여수세계박람회 국가관, F451, CHN, 세계델픽대회: 제주도에 새로운 랜드마크를 제안하다 /
2009년 09월
502호
편집부 / The Gwanghwamun Square: Limits and Significances / News / 건축 / 8~21 / 조신형의 서머 파빌리온: 하버드대학교 교정에 들어서다, 대지를 따라 흐르는 태양열 경기장, 턴 인투 미, 파빌리온: 건축적 즐거움과 논쟁, 폐허로서의 모더니즘, 유려한 기하학적 미의 구현: 스펜서 도크 다리, 한옥을 보는 서구의 시각, 오픈하우스, 과거형이 아닌 현재 완료 진행형의 공간을 만든다: 비안디자인, 제11회 국제 도코모모 컨퍼런스 논문 및 사례 연구 모집, AIA 젊은 건축가상, 2009 울산 국제사진페스티벌, 한옥 건축 기술 기준, 2009 원도시 건축 세미나, 2009 아름지기 아카데미 강연, 2009 하반기 나비 아카데미 워크숍, 조선왕릉: 잠들지 못하는 역사 1·2(이우상), 틈의 다이얼로그(구영민), 세계의 교회 건축 순례(정시춘), 힘을 모으지 모한 디지털 예술: 인천 국제 디지털아트 페스티벌, 경계를 넘어 직접적 소통을 제안하다, 라이트 라이드: 빛을 운전하다, ASYAAF, 에치고 쓰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2009, 2009 광주 디자인비엔날레 /
2009년 08월
501호
조세 포자즈 / The Trace of the Past that Completes the Present / Public Pr / Feature / Critique / 건축 / 94~97 / 제3세계, 도시 형성,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커뮤니케이션 기술, 도시 문화, 환경 조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