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10월
148호
편집실 / 런던국립극장 / 시점 / 미술 / 52~53 / 토니 그랑, 슬라이드 감상회, 공간사랑, 여백의 예술, 장소와의 관계, 공간과 관계, 끝없는 연장, 상징적인 공간, 테크닉, 의미체, 작품 '나무+폴리에스텔' /
1979년 09월
147호
임영방 / 화가 유영국 / 특집 / 미술 / 33~39 / 국립현대미술관, 개인초대전, 작가 본보기, 조형세계 일관성, 기본형태, 공간성 탐구, 표현대상 단순화, 선과 면과 색, 순수성 모색, 다각적 공간구조, 추상적 개념, 창작세계, 철학과 생활의 상징 /
1979년 07월
145호
김주영 / 체코 보나노테의 조각 / 포룸 / 미술 / 105~110 / 현대미술 체험, 예술적, 미적, 인간적 진실, 창조와 정신질환, 드라쿨리드스, '예술가의 작품과 정신분석', 신경증적 증상, 회화 통해 해방, 초현실주의, 상징, 허무한 공간, 마그리트의 '대가족', 에로티즘, 막스 에른스트의 '아름다운 여정원사', 환상의 집념, 마그리트의 '위장의 거울', 인간과 예술표현, 예술 요법 /
1979년 07월
145호
이건용 / 체코 보나노테의 조각 / 특집-2 / 미술 / 60 / 한국적, 주체의식, 나무작업 '신체항', 한국의 나무, 인류학적 특이성, 특징적 체험, 이거뇽의 이벤트 '현신'(나무, 끈, 행위, 1976) /
1979년 06월
144호
김철순 / 미래의 에너지, 태양의 집 / 연재 / 미술 / 78~88 / 영원한 미소, 한국 조각의 특징, 고졸한 미소, 모든 조각에 웃음, 해학과 익살, 한국예술의 본질, 깨달은 장인들, 금동미륵반가사유상, 진흙의 처용, 장승의 웃음, 동자의 웃음, 탈의 웃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