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12월
162호
임직순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7) / 수상 / 미술 / 42~43 / 개안, 빛과 색채, 자연, 현장주의, 표면적 사실, 기호화, 형과 색채, 사색의 여과, 임직순 작 '남쪽의 산'(1980) /
1980년 12월
162호
이경성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7) / 미술 / 38~41 / 화가 유영국, 야인기질, 자기방향 모색, 입체 통한 추상세계, 거시적 작품세계, 기하학, 색채와 기술, 자연의 형태, 정서적 단순화, 한국미술의 선봉, 유영국 작 '산' 시리즈 /
1980년 11월
161호
김기주 / 제5회 공간대상 <국제판화상> / 연재 / 미술 / 118~125 / 동양화, 여백, 무한성, 행동성 원근법, 정세치밀, 삼원법, 문인화, 공간의 깊이, 도가의 '무관', 장자의 인간세, 불가의 '공관', 화엄법계관문, 묘사형채와 여백 /
1980년 11월
161호
사진 이경재 글 신찬균 / 제5회 공간대상 <국제판화상> / 포토에세이 / 건축 / 91~111 / 보은 선씨가, 행주형 명당, 연화부수형, 장수 기원, 工자형 안채, H자형 사랑채, 134칸집, 22년 공사, 구한말, 전통주택, 문화재 지정 문제 /
1980년 10월
160호
김복영, 황병기, 한상우, 한상철, 구희서, 진홍섭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6) / 리뷰 / 예술 / 107~116 / 미술, 김봉태 판화전, 제8회 시공80전, 12인의 회화전, 서울프린트클럽전, 음악, 지성자 가야금독주회, 홍성은 첼로 독주회, 국향 제204회 정기연주회, 연극, 실험극단 '브라드낫트', 가교 '산넘어 고개넘너', 자유 '따라지의 향연', 세실 '홍당무', 서평, 최순우 저 '한국미-한국의 마음, 지식산업사, 진홍섭 서평: 유연한 시각의 이채로운 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