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SPACE는 국내 최고의 건축 포털 매거진입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ogin 회원가입
Naver 로그인


청수곶 | 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

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

고영성, 이성범
사진
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별도표기 외)
자료제공
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
진행
방유경
background

「SPACE(공간)」 2024년 2월호 (통권 675호) 

 

 

 

자연에서 찾은 콘텍스트

곶자왈의 끝, 한라산을 마주하는 자리. 곶자왈이 쭉 이어졌을지도 모르는 이곳에 인공적인 격자 도로가 나며 땅이 구획됐다. 그 덕에 제주에서는 보기 드물게 곶자왈과 한라산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대지가 만들어졌다. 땅을 감싸고 있던 제주의 숲은 사라졌지만 멀리 보이는 한라산과 곶자왈이 손에 잡힐 듯 가까이 보였다. 도시에 살다 제주에 정착한 클라이언트 부부는 바로 이곳에 주거를 겸한 스테이를 지어 달라고 요청했다. 대개 건축가들은 콘텍스트를 염두에 두고 설계를 시작하지만 이곳은 기댈 만한 콘텍스트가 보이지 않는 (숨겨져 있는) 곳이었다. 우리는 인간이 재단해놓은 땅 위로 새로운 콘텍스트를 독자적으로 만들고자 했다. 대지에 올라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제주의 상징적인 자연을 내려다보며, 수평적인 대지 위로 콘크리트 덩어리들이 오름처럼 불뚝 솟은 풍경을 상상했다. 프로그램별로 자연을 바라보는 축을 설정해 시각적으로 독립된 개별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1층은 전면에 인접한 대지와 주변 건물들의 영향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나도록 한라산과 산방산이 이루는 축에 맞춰 배치했다. 건물 중앙을 유연하게 가로지르며 중정을 형성하는 노출콘크리트 담은 2층을 지지하는 구조체인 동시에 좁은 대지에서 스테이와 주거 공간을 완벽하게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대지 위에 부유하는 하나의 판은 시각적으로 곶자왈이라는 자연적 요소와 연속된 개념으로 읽히도록 조경을 식재했다. 오름의 형상을 띤 2층 공간은 각각 곶자왈의 형상을 닮은 옥상정원을 가지며, 조경과 제주 돌담으로 공간을 분리했다. 청수곶은 잿빛이지만 공극 사이로 시간마다 다른 빛이 비치며 건물은 다층의 채도를 덧입는다. 콘크리트 표면과 사이 공간은 빛에 따라 다양한 표정을 드러내며, 푸른빛이 감도는 조경의 자연스러운 배경이 된다. 그리고 이 시선의 끝엔 언제나 곶자왈과 오름, 산방산, 한라산이 있다.​ 

 

 

 

월간 「SPACE(공간)」 675호(2024년 02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계

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고영성, 이성범)

설계담당

백혜민

위치

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용도

단독주택(농어촌민박시설)

대지면적

495m²

건축면적

197.86m²

연면적

183.43m²

규모

지상 3층

주차

2대

높이

10.8m

건폐율

39.97%

용적률

183.43%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종석뜯기, 파벽돌, 노출콘크리트

내부마감

수성페인트

구조설계

(주)이든구조컨설턴트

기계설계

(주)지엠이엠씨

시공

MK종합건설(주)

설계기간

2021. 8. ~ 2022. 4.

시공기간

2022. 5. ~ 2023. 7.

조경

화목해 조경(김시내)


고영성
고영성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솔토건축사사무소를 거쳐 2011년 디자인연구소 이엑스에이를 개소했다. 이후 2013년 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로 이름을 변경해 현재까지 다수의 감성적이고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공간의 표면보다 그 본질의 진정성에 주목하는 건축을 지향한다.
이성범
이성범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경력을 쌓았다. 공공성을 바탕으로 일상 속 건축의 가치를 탐구하고 건축의 본질에 관한 해석을 통해 다양한 건축적 가치를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