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공간)」 2024년 5월호 (통권 678호)
우리는 이 건물을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하곤 한다. 첫 번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 건물은 층별로 원룸이 3세대씩 들어가야 하는 빡빡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저층부와 의뢰인 가족이 살고 있는 4, 5층의 고층부로 이루어져 있다. 대지가 작아 모든 공간이 여유가 없었고 우리는 구조적 지식을 활용하여 조금이라도 편한 건물을 만들고자 했다. 2, 3층 입면을 비렌딜 트러스로 구성하여 1층 외부 진출입부에 기둥이 없는 편리한 주차장을 만들었다. 화재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저층부의 단열재는 열손실을 감수하고서도 구조체 안쪽으로 숨겨 넣었고, 고층부는 일조사선이 볼륨을 빠듯하게 제한하는 덕에 중단열의 철골구조를 채택했다. 이렇게 절약한 외벽의 두께는 의뢰인 가족이 누리는 더 넓은 공간이 되었다. 구조와 재료, 단열 시스템이 바뀌는 복잡한 건물에서 깨끗한 입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물끊기 등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두 번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 건물은 서로 다른 두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정해진 사용자가 한꺼번에 거주하는 고층부와 불특정한 사용자가 이용하게 될 여러 세대로 분할된 저층부다.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한 특징은 평면, 형태, 재료, 단열, 그리고 구조 시스템의 차이로 건축에 각인되었다. 두껍고 무거운 구조체가 떠 있듯 뻗어나간 모습은 그대로 노출시켰고, 가벼운 트러스 구조체에 슬래브가 매달려 있는 모습은 재료 안에 꽁꽁 숨겼다. 계획 초반부터 두 부분을 대비시키는 것이 우리의 의도 중 하나였다. 이 둘이 만나는 선을 날카로운 틈으로 묘사해내는 일은 모든 상세가 정해지는 설계의 마지막 시점까지 중요한 이슈였고, 3층 파라펫을 덮는 두 겹의 프로파일이 4층 외장재 밑단으로 그대로 이어지도록 구현했다.
©KimNam Architects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축사사무소 김남(김진휴, 남호진)
이유나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다세대주택, 근린생활시설
198.3m²
118.85m²
379.69m²
지상 5층
4대
16.02m
59.93%
191.47%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노출콘크리트, 스터코, 골강판
페인트, 트래버틴, 원목마루
윤구조기술사사무소
(주)기술사사무소 타임테크
(주)극동파워테크
무일건설(주)
2019. 12. ~ 2020. 7.
2020. 8. ~ 2021. 7.
어나더가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