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지는 서리풀공원과 접한 명달로를 따라 이어지는 주택가 한켠에 위치한다. 80년대 후반 개발업자에 의해 지어진 저층 빌라와 건축가의 손길이 느껴지는 건축물이 같이 마을을 이루고 있으며,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주거가 마을을 차분하게 한다. 앞으로의 도시에 개미와 같은 점조직적 건축의 확장과 기존 마을의 세월을 담고 있는 건축의 조화를 기대하며 작업은 시작한다.
대상지는 전면 4m 도로에 접해 있는 필지로 경계선 간 레벨차가 약 2.8m인 경사지이다. 경사지를 활용한 단면적 접근은 설계의 중요한 시작점이었으며, 그 레벨과 연결되는 다양한 동선의 관계는 이면도로의 익숙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고 빼곡한 도시에 여유를 준다. 시민이 걸어다니며 느낄 수 있는 저층 가로계획은 건축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경계선과 건축물까지의 진입, 다양한 법규로부터 이격과 설치로 많은 건축물이 공지의 여유를 찾아보기 힘들다. 우리는 이러한 건축적 한계를 나열하여 지속가능한 점조직적 건축이 되고자 한다.
작업에서 중요한 지점인 경계선 간 담장은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었고, 그 모습도 자연스러운 도시의 풍경이 된다. 재료와 높이도 다양하지만 재가공하여 담장이라는 요소를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으며, 건축물의 외장과 마감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전면도로의 레벨차를 활용한 외부공간의 계획은 공간의 다양한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건축적 장치를 통해 도시가 빼곡히 채워진 건축물의 가로가 아닌, 대지 내 공지와 연결된 다양한 레벨이 도시를 더욱 풍부하게 하길 바란다. 주변은 오래된 건축물이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었기에 작업은 최소한의 치장재와 공정 중 생길 수 있는 흔적(상처, 자국)을 노출시키고 최소한의 가공으로 마감하여 주변과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1층(좌) 및 지하 1층(우) 평면도
단면도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필동2가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조경빈, 하규석, 장예림, 김민규, 신승훈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근린생활시설
165.4㎡
96.32㎡
474.81㎡
지하2층, 지상4층
4대
11.86m
58.23%
180.58%
철근콘크리트조
노출콘크리트(송판), 치장벽돌
노출콘크리트(유로폼)
제이더블유구조안전기술사사무소
코담기술단
우리마을에이엔씨㈜
2021.09.07. ~ 2022.02.22.
2022.05.10. ~ 2023.1122.
H9
필동2가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